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교통비 절감 및 환경 보호 활동의 일환으로 만든 일종의 ‘서울 올인원 교통카드’입니다. 글을 작성하고 있는 2024년 1월 27일 금일부터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기후동행카드의 핵심적인 내용(가격, 구입처, 주의할 점 등)에 대해 쉽게 알아보았습니다.

기후동행카드 가격 및 구입처
- 가격 : 따릉이 사용 여부에 따라 6만5천원(따릉이 포함), 6만2천원(따릉이 제외) 2종류로 나뉩니다.
- 종류 : 모바일카드(스마트폰)와 실물카드 2종류가 있습니다.
- 구입처 및 충전 방법 : 모바일카드는 스마트폰으로 ‘모바일티머니앱’을 다운로드해서, 현금, 신용카드로 금액 충전 후 사용이 가능합니다. 실물카드는 서울 지하철 내 역사나 지하철 인근 편의점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실물카드의 가격은 3천원 입니다. 실물카드는 지하철 역사 안에 있는 충전 단말기에서 현금으로만 충전이 가능합니다. 기존의 교통카드 충전 방식과 동일하지만, 편의점에서는 충전이 불가능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주의할 점
- 서울에서만 이용 가능: 기본적으로 서울의 지하철 및 시내버스, 마을버스 등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광역버스는 제외) 그렇기에 서울이 아닌 타 지역에서는 사용이 불가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서울에서 버스를 탔지만 내린 곳이 서울이 아닌 경기도라면 하차 시에 태그가 되지 않습니다. 별도로 요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따라서 본인이 승하차하는 경로가 적용이 되는지 먼저 체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한 명만 사용 가능 : 기존 교통카드나 신용카드는 한 장의 카드로 여러 명이 탑승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기후동행카드는 한 장의 카드로 한 명만 탑승이 가능합니다.
- 실물카드는 꼭 홈페이지에 등록할 것 : 추후 이용을 안 하게 될 경우 남은 금액을 환불 받게 됩니다. 모바일카드는 모바일티머니 앱에서 바로 환불 신청이 가능하지만, 실물카드는 다릅니다. 실물카드는 충전 단말기에서 사용 정지를 먼저 신청한 뒤에, 따로 홈페이지에서 환불을 신청해야 합니다. 다만, 실물카드의 환불은 Tmoney카드&페이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어야 가능합니다. 더욱이 절도나 분실 사고가 생겼을 경우에도 신고를 하려면 역시 홈페이지에 카드가 등록되어 있어야 가능합니다.